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재테크 기본정석2 한푼이라도 더! 금융상품 한 눈에

by 타바타킴 2022. 1. 10.
재테크를 본격적으로 시작해보려면 종잣돈을 모으는
습관부터 길러야 합니다. 
습관을 기르는 것도 중요하지만
이왕 모으기로 시작한 돈
한 푼이라도 더 받는 게 좋겠죠?
이번 편에서는 한 푼이라도 더 받는 예, 적금
받는 법 한번 알아보겠습니다.

 

시중은행 금리 살펴보기

주로 사용하는 은행이 있으신가요? 저는 우리은행이 주거래 은행이라 우리은행을 사용하고 있습니다. 그리고 케이 뱅크, 카카오 뱅크 등 많은 은행을 추가적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. 이 은행들의 금리를 살펴보니 암담한 수준이었습니다. 우리은행 기준으로 2% 초반의 예금이자, 그리고 적금 기준으로 2% 후반의 이자입니다. 케이 뱅크, 카카오 뱅크 또한 이와 비슷한 수준의 금리이자로 상품이 구성되어 있습니다. 

 

그렇다면 그냥 이대로 2%대의 예금, 적금 가입을 하면 되지 않나요?라는 생각이 드실 수도 있지만 조금만 시간을 투자한다면 1%라도 더 이자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을 참고하여 놓칠 수 있는 1%를 더 받아가셨으면 좋겠습니다. 

 

금융상품 한눈에 https://finlife.fss.or.kr/main/main.do

우선, 금융감독원에서 운영하는 '금융상품 한눈에(finlife.fss.or.kr)라는 사이트가 있습니다. 사이트에 들어가 보면 예금, 적금뿐만 아니라 펀드, 연금상품 등 금융기관에서 판매하는 상품들을 한눈에 비교해볼 수 있습니다. 저축은행이 시중은행보다 금리를 많이 주는 걸 알고 계시나요? 모르셨던 분이 계셨다면 이 사이트를 한 번 들어가서 예금, 적금 그리고 원하시는 조건들을 검색해 보시길 바랍니다. 제가 포스팅을 작성하는 시점 기준으로 약 3%의 예금, 최대 6% 의적 금 상품이 있네요. 

 

마이뱅크 https://www.mibank.me/

위의 사이트 마이뱅크 또한 금융상품 한 누에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상품을 비교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. 다른 점이 있다면 은행별 지점별 금리를 다 분류해 놓았기 때문에 조금 더 좋은 조건들, 예를 들어 특판 같은 정보들이 조금 더 들어있습니다. 한번 찾아보시고 거주지역에 좋은 조건의 예, 적금 상품이 있다면 찾아가서 1%라도 이자를 더 받아가 보시기 바랍니다. 

 

1% 더 잡아보자 CMA, 파킹 통장

남는 돈이 있다면 어디에 보관하시나요? 대부분 입출금 통장에 돈을 넣어놓고 돈을 보관하실 겁니다. 그런데 입출금 통장에 돈을 보관하면 0.1%의 이자만 발생한다는 걸 아시나요? 솔직히 0.1%면 없는 돈이 나 마찬가지입니다. 그래서 남는 돈이 있다면 CMA통장을 개설해서 남는 돈을 보관해 보시는 걸 추천해 드립니다. 

하지만 CMA 또한 입출금 통장이기 때문에 돈을 빼 쓸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합니다. 그럴 때는 잠깐 보관해놔도 이자를 주는 파킹 통장을 이용해 보시길 바랍니다. 최근 1%에서 2%까지 다양한 파킹 통장들이 존재하니 한번 찾아보시고 마음에 드는 상품을 이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.